맨위로가기

반다 제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다 제도는 인도네시아 몰루카 제도에 위치한 일곱 개의 유인도와 여러 무인도로 이루어진 군도이다. 주요 섬으로는 반다 네이라, 반다 아피, 반다 베사르 등이 있으며, 과거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칼데라 지형을 보인다. 17세기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육두구 무역을 독점하면서 학살 사건이 발생했고, 이후 영국과 네덜란드의 쟁탈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현재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주민들이 거주하며, 반다 말레이어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루쿠주 - 남말루쿠 공화국
    남말루쿠 공화국은 1950년 남말루쿠 지역에서 독립을 선언했으나 인도네시아 정부에 의해 진압되었고, 이후 망명 정부가 네덜란드에 수립되었다.
  • 말루쿠주 - 스람섬
    스람섬은 인도네시아 말루쿠 제도에 속하는 섬으로 중앙 몰루카인들의 조상 고향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동식물과 복잡한 지질 구조를 가진 곳으로, 행정적으로는 세 개의 군으로 나뉘고 유럽 세력의 식민 지배를 거쳐 현재는 이슬람교와 기독교 신자가 많으며 코프라, 수지, 사고, 어류, 석유 등을 생산한다.
  • 반다해 - 반다해판
    반다해판은 인도네시아 동부 반다해 지역의 소형 판으로, 여러 판과의 상호작용으로 지진 및 화산 활동이 활발하며 순다 해구, 티모르 해구 등의 해구와 주상해분을 포함한다.
  • 반다해 - 암본섬
    암본섬은 몰루카 제도에 속하는 화산섬으로, 독특한 지형, 열대 우림 기후, 다양한 해양 생태계를 가지며, 과거 향신료 무역 중심지로서 다양한 문화적 영향을 받았고, 현재는 말레이-파푸아 혼혈인들이 거주하며 암본말레이어를 사용한다.
  • 말루쿠주의 지형 - 아루 제도
    아루 제도는 인도네시아 말루쿠 주 동쪽 끝에 위치한 군도로, 아라푸라 해에 위치하며 약 90개의 저지대 섬으로 구성되어 있고, 다양한 생태계를 이루며 동남아시아 무역 중심지였고 현재 진주 양식이 주요 산업이며 약 10만 8천 명의 인구가 거주한다.
  • 말루쿠주의 지형 - 반다해
    반다해는 인도네시아 몰루카 제도에 위치하며, 활화산과 지진 발생이 잦고, 산호 삼각지대에 속해 아시아와 호주의 동식물이 혼합되어 서식한다.
반다 제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리
위치동남아시아, 말루쿠 제도
군도말루쿠 제도
총 섬 수11개 (7개 유인도)
주요 섬반다 besar
네이라
반다아피
풀라우 하타
풀라우 아이
풀라우 룬
면적172 km2
최고봉구나눙 아피
해발고도641 m
행정 구역
국가인도네시아
말루쿠 주
인구
인구21,902명 (2023년 중반 기준)
인구 밀도127.3 명/km2
기타 정보

2. 지리

반다 제도는 반다해에 위치한 인도네시아 말루쿠 제도의 섬들로, 유인도와 무인도로 나뉜다. 이 섬들은 반다해 섬 습윤 낙엽수림 생태 지역에 속한다.

과거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칼데라 지형이 특징이며, 주요 군도는 반다네이라 섬, 활화산인 군웅 아피 섬, 론타르 섬, 풀라우 피상 섬, 바투 카팔 섬 등으로 구성된다.

2. 1. 주요 섬

반다 제도는 일곱 개의 유인도와 여러 개의 무인도로 이루어져 있다. 주요 섬은 다음과 같다.

반다 제도에 있는 활화산 반다 아피


본섬인 반다 네이라(중앙)를 군웅 아피 화산 정상에서 바라본 모습. 뒤쪽에는 론타르 섬(반다 베사르)이 보인다.


섬 이름설명
반다네이라행정 수도이자 작은 비행장이 있는 섬이다. 섬에는 포트 벨기카와 포트 나소 등 인도네시아에 남아 있는 가장 큰 네덜란드 요새들이 있다.
반다 아피높이 약 650m의 활화산이다.
반다 베사르론타르 또는 론토이어라고도 불리는 가장 큰 섬으로, 길이는 12km이고 너비는 3km이다. 과거 네덜란드의 요새였던 포트 홀란디아와 포트 콘코르디아가 이 섬에 있다.
풀라우 아이반다네이라에서 12km 거리에 있으며, 과거 네덜란드 포트 리벤지의 잔해가 있다.
풀라우 룬17세기에 영국과 네덜란드 사이의 교환에 관여했는데, 당시 뉴욕의 맨해튼 섬과 교환되었다.
풀라우 피상(바나나 섬)샤르리르라고도 한다.
풀라우 하타반다네이라에서 19km 거리에 있다.


  • 기타 작거나 무인도
  • 나이잘라카
  • 바투 카팔
  • 마누크 (활화산)
  • 풀라우 케라카 또는 풀라우 카라카(게 섬)
  • 마누캉 또는 수앙기
  • 스카루 암초

2. 2. 기타 섬


  • 나이잘라카, 풀라우 룬에서 북동쪽으로 약간 떨어진 곳
  • 바투 카팔, 풀라우 피상 북서쪽에 있는 작은 섬
  • 마누크, 활화산
  • 풀라우 케라카 또는 풀라우 카라카(게 섬), 반다 아피에서 북쪽으로 약간 떨어진 곳
  • 마누캉 또는 수앙기, 주요 군도의 북서쪽에 위치
  • 스카루 암초, 풀라우 하타에서 남쪽으로 약간 떨어진 곳

3. 행정

반다 제도 구(kecamatan)는 18개의 행정 마을(desa)로 세분화되어 있으며, 각 마을의 면적과 2022년 중반 기준 공식 추정 인구는 다음과 같다.[5] 이들 지역은 모두 우편번호 97586을 사용한다.

지역 코드이름면적 (km2)2022년 중반 추정 인구
61.01.09.2001누산타라13.3km21,993
61.01.09.2002드위와르나1.4km2947
61.01.09.2003메르데카3.44km2814
61.01.09.2004라자와리2.95km2824
61.01.09.2005캄풍 바루5.7km23,050
61.01.09.2006풀라우 하타15.88km2683
61.01.09.2007셀라몬28.97km21,991
61.01.09.2008론토이르16.07km22,972
61.01.09.2009풀라우 아이15.19km21,577
61.01.09.2010풀라우 룬13.16km21,572
61.01.09.2011타나 라타2.2km2874
61.01.09.2012와에르7.99km21,407
61.01.09.2013보이야우7.15km2625
61.01.09.2014덴데르3.4km2164
61.01.09.2015라우탕4.7km2233
61.01.09.2016우링-투트라7.5km2313
61.01.09.2017왈링 스판시비14km2893
61.01.09.2018콤비르 카이사스토렌9km2493
61.01.09'총계'736.3km2'21,425'



2022년 중반 추정 인구는 남성 10,723명, 여성 10,702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4. 역사

반다 제도는 8,000년 전부터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풀라우 아유의 암석 대피소 유적에서 그 흔적이 발견되었다.[6] 기원전 200년경 중국 기록에 처음으로 반다 제도에 대한 언급이 등장하며, 슈리비자야 왕국도 반다 제도와 활발하게 교역했다. 13세기 말부터는 이슬람이 전파되어 이 지역에 정착했다.[7]

유럽인들이 도착하기 전, 반다 제도는 '오랑 카야'라는 부유한 지도자들이 이끄는 과두제 사회였다. 반다인들은 육두구메이스아랍 상인과 베네치아 상인에게 팔아 큰 부를 얻었다. 이 향신료들은 유럽에서 매우 귀하게 여겨졌지만, 유럽인들은 그 생산지를 알지 못했다.[8]

1511년 포르투갈아폰수 드 알부케르크가 말라카를 점령한 후, 1512년 안토니우 드 아브레우가 이끄는 함대가 반다 제도를 탐험했다.[9] 이들은 반다 제도에 처음 도착한 유럽인이었다. 이후 포르투갈은 반다 제도와 교역을 시도했지만, 큰 영향력을 가지지 못했다.[10]

1602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가 설립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네덜란드는 반다 제도와의 무역에서 큰 이익을 얻었고, 이를 독점하기 위해 노력했다. 1609년 피터 빌렘스 조온 베르호프 제독이 포트 나소 요새를 건설하려 했으나, 반다인들의 저항으로 실패했다.

1824년 포트 벨기카


1724년 반다 네이라


1621년 얀 피터르존 쿤은 반다 제도를 무력으로 정복하고, 원주민들을 학살하거나 추방했다. 살아남은 사람들은 강제 노동에 동원되었다. 네덜란드는 육두구 생산을 독점하고, perkeniersnl (페르케니어스)라는 농장주들에게 토지를 분배했다.

네덜란드 지배를 나타내는 네덜란드 국왕 빌럼 3세 동상 옆에서 경계를 서고 있는 식민지 군인.


17세기 동안 영국과 네덜란드는 반다 제도를 두고 경쟁했다. 영국은 룬 섬과 아이 섬에 무역 기지를 건설했지만, 1667년 브레다 조약을 통해 룬 섬을 네덜란드에 넘겨주었다.

1810년 8월 9일 영국군이 점령한 반다 네이라 섬의 모습


1810년 영국은 일시적으로 반다 제도를 점령했지만, 이후 네덜란드에 반환했다. 네덜란드는 19세기까지 반다 제도를 지배했다.

1990년대 후반, 말루쿠 지역에서 발생한 종교 분쟁이 반다 제도까지 확산되어 큰 피해를 입혔다.[30]

4. 1. 유럽인 도래 이전

반다 제도에 인간이 거주한 최초의 기록은 최소 8,000년 전에 사용된 풀라우 아유의 암석 대피소 유적에서 발견된다.[6]

반다 제도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기원전 2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중국 기록에서 발견되지만, 더 오래된 인도 자료에서도 언급되었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슈리비자야 왕국은 반다 제도와 광범위한 무역 관계를 맺고 있었다. 13세기 말부터 이슬람이 이 지역에 유입되어 정착했다.[7]

유럽인들이 도착하기 전에 반다는 오랑 카야|orang kayaid('부자')가 이끄는 과두제 형태의 정부를 가지고 있었으며, 반다인들은 군도 전체에서 적극적이고 독립적인 무역 역할을 했다.[8] 반다는 당시 유럽 시장에서 매우 높은 가치를 지녔던 향신료, 의약품, 보존제로 사용되는 육두구메이스의 세계 유일의 공급지였다. 이들은 아랍 상인들에 의해 베네치아 상인들에게 엄청난 가격으로 팔렸다. 상인들은 그들의 공급지의 정확한 위치를 밝히지 않았고, 어떤 유럽인도 그들의 위치를 추론할 수 없었다.

반다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512년부터 1515년까지 말라카에 거주하면서 반다를 여러 번 방문했던 포르투갈인 약제사 토메 피레스가 쓴 책인 ''수마 오리엔탈''에 있다. 첫 방문에서 그는 말라카에 있는 포르투갈인과 훨씬 더 박식한 말레이 선원들을 인터뷰했다. 그는 16세기 초의 인구를 2,500~3,000명으로 추정했다. 그는 반다인들이 인도네시아 전역의 무역 네트워크의 일부이며, 말라카로 화물을 운송하는 유일한 원주민 말루쿠 장거리 상인이라고 보고했지만, 반다에서 자바인 상인들에 의해서도 선적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육두구와 메이스 생산 외에도 반다는 상당한 중계 무역을 유지했다. 반다를 통과하는 상품으로는 북부의 테르나테와 티도레에서 온 정향, 아루 제도와 서파푸아에서 온 극락조 깃털, 전통 의약품과 연고에 사용되는 ''마소이'' 나무껍질 등이 있었다. 그 대가로 반다는 주로 쌀과 천을 받았다. 자바에서 온 얇은 면 ''바틱'', 인도에서 온 ''캘리코'', 소순다 열도에서 온 ''이카트'' 등이 그것이다. 1603년, 평균 품질의 ''사롱'' 크기 천이 18kg의 육두구와 교환되었다. 이러한 직물 중 일부는 이후에 판매되어 할마헤라와 뉴기니에 도착했다. 소순다 열도에서 온 더 거친 ''이카트''는 케이 제도, 아루, 세람에서 온 사고와 교환되었다.

4. 2. 포르투갈의 진출

1511년 8월, 포르투갈 국왕을 대리한 아폰수 드 알부케르크는 당시 아시아 무역의 주요 중심지였던 말라카를 정복했다. 그해 11월, 말라카를 확보하고 반다 제도의 위치를 파악한 알부케르크는 친구 안토니우 드 아브레우가 이끄는 3척의 함대를 파견하여 반다 제도를 찾게 했다. 말레이족 출신의 항해사들은 징집되거나 강제로 징용되어 자바, 소 순다 열도, 암본섬을 거쳐 1512년 초 반다에 도착하도록 안내했다.[9] 반다 제도에 처음 도착한 유럽인인 이 원정대는 약 한 달 동안 반다에 머물면서 반다의 육두구, 메이스, 클로브를 구매하여 배에 채웠는데, 반다는 이 무역으로 번성하고 있었다.[9] 아브레우는 암본섬과 세람섬을 지나 항해했으며, 부관 프란시스쿠 세르랑은 몰루쿠 제도를 향해 전진하다가 난파되어 테르나테에 도착했다.[8]

암본, 테르나테 등 다른 군도에서의 적대 행위로 인해 포르투갈은 1529년까지 반다 제도로 돌아오지 못했으며, 포르투갈 상인 가르시아 엔리케스 선장이 병력을 상륙시켰다. 반다 섬 5개는 서로 사정거리에 있었고, 엔리케스는 주요 섬인 네이라에 요새를 건설하면 이 지역을 완전히 장악할 수 있음을 깨달았다. 그러나 반다인들은 그러한 계획에 적대적이었고, 그들의 호전적인 행동은 요새를 건설하려던 가르시아의 군대를 공격하면서 많은 피해를 입히고 지치게 만들었다. 그 이후, 포르투갈은 반다 제도를 자주 방문하지 않았고, 말라카의 상인들에게 육두구를 구매하는 것을 선호했다.[10]

포르투갈이 방문한 동인도네시아 섬인 암본섬, 솔로르, 테르나테, 모로타이의 주민들과는 달리, 반다인들은 16세기에 기독교나 기독교를 가져온 유럽인들에게 열의를 보이지 않았으며, 반다인들을 기독교화하려는 진지한 시도는 없었다.[8] 독립을 유지하면서 반다인들은 포르투갈이 섬에 요새나 영구 거점을 건설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 아이러니하게도 이러한 부재는 네덜란드가 정향을 생산하는 테르나테와 티도레 대신 반다에서 무역을 하도록 유도했다.

4. 3. 네덜란드의 지배

네덜란드는 포르투갈에 이어 반다 제도에 진출했지만, 훨씬 더 지배적이고 지속적인 영향력을 행사했다. 네덜란드와 반다의 관계는 처음부터 상호 불만을 품었는데, 네덜란드 상인들은 반다가 합의된 납품과 가격을 어기고, 수량과 품질을 속인다고 불평했다. 반다인들은 다른 경쟁 구매자를 통해 향신료를 판매하게 된 것을 환영했지만, 네덜란드가 제공하는 거래 품목은 전통적인 거래 상품에 비해 일반적으로 적합하지 않았다. 자바인, 아랍인, 인도인, 포르투갈 상인들은 강철 칼, 구리, 의약품, 귀한 중국 도자기와 같은 필수품을 가져왔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네덜란드와 반다 제도 간의 무역은 매우 수익성이 높았다. 이에 경쟁자들은 1602년에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를 결성했다.[9] 17세기 초, 반다는 orang kayaid(문자 그대로 '부자')라고 불리는 지도자 그룹에 의해 통치되었다. 당시 육두구는 유럽에서 비싼 가격에 판매되는 "고급 향신료" 중 하나였지만, 인도 항구의 네덜란드 상인들에게도 매력적인 상품이었다. 많은 반다의 orang kayaid는 네덜란드인들의 설득에 따라 향신료 구매 독점권을 네덜란드에 부여하는 조약에 서명했다.

1609년 4월, 피터 빌렘스 조온 베르호프 제독은 오렌지 공작 모리스의 요청에 따라 섬에 포트 나소 요새를 건설하기 위해 반다 네이라에 도착했다. 반다인들은 이 아이디어를 반기지 않았다. 5월 22일, 요새 건설이 시작되기 전에 orang kayaid는 네덜란드 제독과 회의를 열어 가격을 협상하려 했다. 그러나 그들은 베르호프와 고위 간부 두 명을 매복으로 유인하여 참수했고, 이후 네덜란드 방문객 46명을 살해했다.

이후, 얀 피터스 존 쿤은 섬의 원주민을 거의 몰아낸 후, 약 50만 그루의 육두구 나무가 있는 생산성 높은 토지를 68개의 1.2헥타르 perkennl로 나누었다. 이 토지는 perkeniersnl라고 불리는 네덜란드인 농장주에게 넘겨졌으며, 반다인들이 거의 남지 않아 다른 곳에서 노예를 데려왔다.[26] 육두구 생산을 통제하게 된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는 perkeniersnl에게 육두구에 대해 네덜란드 시장 가격의 1/122을 지불했지만, perkeniersnl는 여전히 막대한 이익을 얻었다.

외딴 섬 룬은 VOC가 통제하기 더 어려웠고, 그들은 그곳의 모든 육두구 나무를 제거했다. 육두구의 생산과 수출은 거의 200년 동안 VOC의 독점이었다. 벨기카 요새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건설한 많은 요새 중 하나로, 인도네시아에 남아 있는 가장 큰 유럽 요새 중 하나이다.

4. 3. 1. 반다 제도 학살 (1621년)

새로 임명된 VOC 총독 얀 피터르존 쿤은 반다 제도의 향신료 무역에 대한 네덜란드의 독점권을 강제하기 시작했다. 1621년, 무장한 군인들이 반다네이라 섬에 상륙했고, 며칠 만에 인근의 더 큰 섬인 론타르도 점령했다. 오랑 카야id들은 총칼의 위협으로 지키는 것이 불가능한, 너무나도 가혹한 조약을 체결하도록 강요받았고, 이는 쿤에게 반다인에 대한 우월한 네덜란드 군사력을 사용할 명분을 제공했다.[9] 네덜란드인들은 새로운 조약의 위반 혐의를 신속하게 파악했고, 쿤은 이에 대한 보복으로 학살을 감행했다. 일본 용병들이 오랑 카야id들을 처리하기 위해 고용되었고,[14] 그들 중 40명이 참수되어 머리가 대나무 창에 꽂혀 전시되었다.[15][16]

네덜란드인들은 섬 주민들과 반다인 추장들을 고문하고 마을을 파괴했다.[17][18][19][20] 또한, 원주민들을 노예로 만들고 학살한 후 섬을 68개 구획으로 나누었다.[21][22]

네덜란드 정복 이전의 반다 제도의 인구는 일반적으로 약 13,000~15,000명으로 추정되며, 이 중에는 말레이인과 자바인 상인, 중국인과 아랍인도 있었다. 1621년에 살해되거나 강제로 추방당하거나 섬에서 도망친 반다인의 실제 숫자는 불확실하다. 그러나 역사적 자료를 살펴보면 약 1,000명의 반다인만이 섬에서 살아남아 강제 노동자로 육두구 숲에 흩어져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9][23][24][25] 네덜란드는 이후 수입된 노예, 죄수 및 근로 계약 노동자(육두구 농장에서 일하기 위해), 그리고 인도네시아 다른 지역에서 온 이주민들을 섬에 재정착시켰다. 대부분의 생존자들은 무역 파트너의 섬, 특히 세람 라우트 체인의 케핑과 굴리 굴리, 그리고 케이 베사르로 피난했다.[9] 살아남은 반다인들은 도시와 요새 개발을 위한 노예로 일하기 위해 바타비아(자카르타)로 보내지기도 했다. 이들 중 약 530명은 육두구 재배에 대한 매우 필요한 전문 지식(새로 도착한 네덜란드 정착민들에게는 절실히 부족한 것) 때문에 나중에 섬으로 돌려보내졌다.[9][23]

4. 4. 영국-네덜란드 경쟁

영국은 반다 제도의 본섬에서 10~20km 떨어진 작은 룬 섬과 아이 섬에 요새화된 무역 기지를 건설했다. 영국이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하면서, 네덜란드의 독점 목표는 흔들렸다. 1611년 영국과 네덜란드 간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네덜란드는 포트 나소 위에 더 크고 전략적인 벨기카 요새를 건설했다.[13]

1615년, 네덜란드는 900명의 병력으로 아이 섬을 침공했고, 영국군은 룬 섬으로 후퇴했다. 일본 용병들이 네덜란드 군대에 복무했다.[13] 같은 날 밤, 영국군은 아이 섬에 기습 반격을 가해 섬을 탈환하고 네덜란드인 200명을 살해했다. 1년 후, 더 강력한 네덜란드 군대가 아이 섬을 공격했다. 수비대는 대포 사격으로 공격을 막아냈지만, 한 달간의 포위 공격 끝에 탄약이 떨어졌다. 네덜란드는 수비대를 살해했고, 요새를 강화하여 '복수 요새'로 이름을 바꾸었다.

영국은 1667년 브레다 조약에 따라 네덜란드와 식민지 현상 유지를 유지하기로 합의할 때까지 런 섬을 점유했다고 주장했다.

1810년, 홀란드 왕국은 나폴레옹 프랑스의 속국이었고, 영국과 대립했다. 1810년 5월 10일, 영국 함대가 마드라스를 출발하여 암보이나 주둔군을 지원했다. 함대는 크리스토퍼 콜 선장이 지휘했다. 마드라스를 출발한 후, 콜은 반다 제도 점령 계획을 알렸고, 싱가포르에서 스펜서 선장은 콜에게 700명 이상의 정규 네덜란드군이 반다 제도에 주둔하고 있을 수 있다고 알렸다.[27][28]

1810년 8월 9일, 영국군은 반다 네이라에 나타나 섬을 공격했고 벨기카 요새를 공격했다. 전투는 몇 시간 만에 끝났고, 네덜란드군은 나소 요새를 항복했고, 며칠 만에 반다 제도의 나머지 지역도 항복했다. 찰스 푸트가 반다 제도의 부총독으로 임명되었다. 이 행동은 1811년 영국군의 자바 침공의 서곡이었다.[27]

네덜란드군이 섬의 통제권을 되찾기 전에, 영국군은 많은 육두구 나무를 실론과 다른 영국 식민지로 이식했다. 이로 인해 반다 제도의 가치는 네덜란드에게 크게 떨어졌다.[29]

4. 5. 근현대

1990년대 후반, 말루쿠 지역에서 기독교인과 무슬림 간의 종교 분쟁이 발생하여 반다 제도까지 확산되었다.[30] 이 분쟁으로 인해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고, 이전까지 번성했던 관광 산업도 큰 피해를 입었다.[30]

5. 언어

반다인들은 반다 말레이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암본 말레이어와 여러 면에서 다르다. 암본 말레이어는 중앙 및 남부 말루쿠에서 인도네시아어와 함께 공용어로 사용되는 말레이어 방언이다. 반다 말레이어는 독특하고 콧소리가 섞인 억양으로 이 지역에서 유명하지만, 어휘에도 지역 고유의 단어가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중 다수는 네덜란드어에서 차용하거나 차용어이다.

예시:


  • 포크: forok|포록ms (네덜란드어 vork|포르크nl)
  • 개미: mir|미르ms (네덜란드어 mier|미르nl)
  • 숟가락: lepe|레페ms (네덜란드어 lepel|레펄nl)
  • 어려운: lastek|라스텍ms (네덜란드어 lastig|라스티흐nl)
  • 바닥: plur|플루르ms (네덜란드어 vloer|플루르nl)
  • 현관: stup|스툽ms (네덜란드어 stoep|스툽nl)


반다 말레이어는 포르투갈어 차용어를 암본 말레이어와 많이 공유하며, 이는 인도네시아어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비교적 적고, 발음도 다르다.

예시:

  • 거북이: tetaruga|테타루가ms (반다 말레이어); totoruga|토토루가ms (암본 말레이어) (포르투갈어 tartaruga|타르타루가pt에서 유래)
  • 목구멍: gargontong|가르곤통ms (반다 말레이어); gargangtang|가르강탕ms (암본 말레이어) (포르투갈어 garganta|가르간타pt에서 유래)


마지막으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반다 말레이어가 몇 가지 독특한 대명사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가장 즉각적으로 구별되는 것은 2인칭 단수 친근형 호칭이다: pané|파네ms.

17세기에 네덜란드의 정복을 피해 도망친 반다인들의 후손들은 반다 군도 동쪽에 있는 카이 제도 (Kepulauan Kei)에 살고 있으며, 이곳의 카이 베사르 섬의 반다 엘리와 반다 엘라트 마을에서 원래 반다어의 한 변종이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이 정착촌의 주민들은 카이 제도 사회에 오랫동안 통합되었지만, 조상의 역사적 기원을 여전히 소중히 여긴다.

6. 문화

현재 반다 제도의 주민 대부분은 인도네시아 각지에서 온 이주민과 플랜테이션 노동자, 그리고 토착 반다인들의 후손이다. 그들은 식민지 이전 반다 제도에서 행해지던 의례적 관습의 측면들을 물려받았으며, 이는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여전히 행해지고 있어, 그들에게 독특하고 매우 지역적인 문화적 정체성을 부여하고 있다.[31]

참조

[1] 웹사이트 G. Banda Api https://web.archive.[...] Badan Geologi 2022-01-28
[2] 간행물 Jakarta Biro Pusat Statistik 2011
[3] 간행물 Jakarta Badan Pusat Statistik 2021
[4] 간행물 Jakarta Badan Pusat Statistik 2024
[5] 간행물 Kecamatan Banda Badan Pusat Statistik 2023
[6] 논문 Die erste Besiedlung auf den Banda-Inseln: 8000 Jahre Archäologie auf den Molukken 2013
[7] 서적 International Dictionary of Historic Places Fitzroy Dearborn
[8] 서적 A History of Modern Indonesia Since c. 1300 Macmillan 1993
[9] 서적 Indonesian Banda: Colonialism and Its Aftermath in the Nutmeg Islands Yayasan Warisan dan Budaya Banda Naira 1991
[10] 서적 Nathaniel's Nutmeg Sceptre 1999
[11] 서적 Civilization and Capitalism: 15th–18th Century William Collins Sons & Co Ltd 1984
[12] 서적 De reis van de vloot van Pieter Willemsz Verhoeff naar Azië 1607–1612 Utrecht University 1972
[13] 서적 Merchant kings: when companies ruled the world, 1600–1900 Thomas Dunne Books 2009
[14] 뉴스 The world's oldest clove tree https://www.bbc.co.u[...] 2012-06-23
[15] 서적 Mergers, Acquisitions and Global Empires: Tolerance, Diversity and the Success of M&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16] 서적 The Taste of Conquest: The Rise and Fall of the Three Great Cities of Spice Random House Publishing Group 2008
[17] 서적 Stoned: Jewelry, Obsession, and How Desire Shapes the World HarperCollins 2015
[18] 서적 Indonesia: Peoples and Histories Yale University Press 2003
[19] 웹사이트 Frigates, War Canoes, and Volcanoes https://web.archive.[...] 2015-10-26
[20] 서적 Spice: The History of a Temptation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2008-12-10
[21] 서적 The Dutch Republic in the Seventeenth Century: The Golden 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09-22
[22] 서적 Nathaniel's Nutmeg Hodder & Stoughton 2012-04-12
[23] 논문 Pioneers and Perkeniers: The Banda Islands in the 18th Century https://scholarspace[...] 1995
[2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Southeast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2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Southeast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26] 서적 The Territories of Indonesia Routledge 2004
[27] 서적 The War for All the Oceans: From Nelson at the Nile to Napoleon at Waterloo Penguin 2008
[28] 서적 The Annual biography and obituary Longman, Hurst, Rees, Orme, & Brown 1837
[29] 뉴스 Banda, the nutmeg treasure islands http://www.thejakart[...] 2011-01-16
[30] 서적 Indonesia Lonely Planet 2003
[31] 논문 Slavery and cultural creativity in the Banda Islands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